본문 바로가기
건강

누구나 마음에 상처 하나쯤은 있다-트라우마, 그리고 극복의 길

by infobox0218 2025. 8. 4.

목차

1. 트라우마란?

2. 트라우마 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3. 트라우마,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4.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

5. 정책 및 제도적 지원

누구나 마음에 상처 하나쯤은 있다-트라우마, 그리고 극복의 길

 

"그 일만 떠올리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아요..."

"지금은 괜찮지만, 그때는 정말 무서웠어요."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지 않나요?
사람은 누구나 작든 크든 '트라우마(trauma)'를 갖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우리는 마음의 상처에 대해 너무 쉽게 말하거나,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트라우마란?

트라우마(trauma)란,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충격적 경험으로 인해 생긴 심리적 상처입니다.

 

▶ 대표적인 예

  • 큰 사고나 재해를 경험했을 때
  • 가까운 사람의 갑작스러운 죽음
  • 학대나 왕따, 성적 피해 등
  • 실패, 실직, 가난 등으로 인한 상실감
  • 전쟁, 가정불화, 이별 등 반복된 고통

 

이처럼 객관적 크기보다는 '개인의 감정'이 중요합니다.

같은 일을 겪어도 어떤 사람은 쉽게 털고 일어나지만, 어떤 사람은 깊이 오래 상처로 남기도 하죠.

2. 트라우마 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심리적 반응 행동적 반응 신체적 반응
불안, 공포, 무기력 회피, 분노폭발, 무기력 두통, 소화불량, 가슴 답답함
악몽, 과민반응 고립, 중독(음주, 게임 등) 만성피로, 불면

 

3. 트라우마,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1) '인정'이 첫걸음

"나는 그 일로 상처받았어."

상처는 외면할수록 곪습니다. 먼저 '나도 아팠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말해줘야 합니다.

 

2) 감정을 말로 꺼내기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털어놓는 것만으로도 큰 치유가 됩니다.

말이 어렵다면 일기, 편지, 그림 등 다른 방식도 괜찮습니다.

 

3)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회복 루틴

방법 설명
규칙적인 운동 우울과 불안 감소, 뇌에서 세로토닌 분비 유도
명상·호흡 훈련 감정의 홍수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
일상 리듬 회복 기상-수면-식사 등 기본적인 루틴이 회복의 시작
긍정 회상 힘들었던 순간에도 나를 도와준 사람, 장소, 말들을 떠올리기
감정일기 쓰기 내 감정을 기록하면서 객관화하는 효과 있음

 

4.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

다음의 상태가 수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전문가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반복적인 악몽

극심한 불안과 공황발작

관계 회피, 사회적 고립

중독(알코올, 폭식, 쇼핑 등)

 

정신건강의학과, 심리상담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 가능

▶ 국민건강보험 적용 가능, 소득에 따라 국가 지원도 있음

 

5. 정책 및 제도적 지원

국가 트라우마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

 

www.nct.go.kr

 

  • 재난, 사고, 범죄 피해자 등을 위한 심리 회복 지원
  •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 (전화·대면·온라인)
  • 치유 프로그램, 상담, 회복교육 등 제공

 

▶ 정신건강복지센터

  • 각 지역 보건소 연계, 우울·불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관리
  • 무료 심리상담 및 연계 서비스 제공

👉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바로 가기

 

국립정신건강센터

 

www.ncmh.go.kr

 

 

▶ 학교·직장 트라우마 예방 교육

  • 학생, 교사, 소방관, 경찰 등 고위험군 대상 지원 사업 확대

👉 [도서] '트라우마는 어떻게 치유되는가 - 상처를 넘어 자유로 나아가는 놀라운 여정' 구매하러 가기

 

트라우마는 어떻게 치유되는가 : 알라딘

모든 인간은 트라우마에서 결코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시작하며 트라우마의 일상성, 예측불가성, 주관성, 파괴성, 은폐성 등의 속성에 주목한다.

www.aladin.co.kr

 

세상 모든 상처는 '나만 그런 게 아니야'라는 것을 알게 될 때 치유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혼자서 버티는 것이 강한 게 아니라, 도움을 구할 줄 아는 것이 진짜 용기입니다.

 

트라우마는 '극복'이 아니라 '회복'의 여정입니다.
그 여정에 당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