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로 말하는 세상 - 예술과 시민 행동 - 말보다 강한 예술의 언어, 사회를 바꾸는 창조적 저항
목차1. 예술은 '행동'이다 - 세계의 사례2. 한국, 예술과 시민이 함께한 순간들3. 예술은 '시민교육'이기도 하다4. 왜 지금, '예술과 시민 행동'이 필요한가?5. 시민이 할 수 있는 예술 행동6. 앞으로 나아갈 길 - 정책도 예술을 품어야 예술,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세상을 바꾸는 언어우리는 흔히 예술을 전시장에서 감상하거나, 무대에서 관람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그러나 예술은 언제나 시대를 반영하고, 그 시대를 앞서 나간다. 그림 한 장, 노래 한 곡, 연극 한 편, 시 한 줄이 불의에 저항하고 사회를 움직이며, 인간의 감정을 일깨우는 힘이 되어왔다. 특히 시민사회의 위기, 민주주의 후퇴, 인권 침해, 기후위기 등 복잡한 문제들 앞에서예술은 대중과 함께 행동하는 '무기이자 다리'가 되고 있다.1..
2025. 7. 21.
[복날 특집 블로그] 초복, 왜 삼계탕을 먹을까? - 여름의 시작, 기운을 북돋는 풍습 이야기
목차1. 복날은 무슨 날인가요?2. 복날의 유래 - 음양오행과 한중(寒中) 보양3. 왜 삼계탕을 먹을까?4. 수박, 냉면, 과일.... 복날의 또 다른 음식들5. 외국은 어떨까? 각국의 '여름 기력 회복' 문화6. 복날의 현대적 의미와 건강하게 즐기는 법 7월 20일은 2025년 초복( 初伏)이다.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며, 전국 곳곳에서삼계탕, 수박, 보양식, 냉면집 줄이 길게 이어지는 시기다. 단순히 더워서 먹는 게 아니라, 유구한 역사와 삶의 지혜가 담긴 절기 속 풍습이라는 사실, 알고 있었는가? 1. 복날은 무슨 날인가요?복날은 삼복( 三伏)이라 하여, '초복-중복-말복' 3번에 걸쳐 찾아오는 한여름 절기다.양력 기준이 아닌 음력 기준으로 초복, 중복, 말복이 정해진다.이름2025년 날짜설명초복7..
2025. 7. 19.
"헌법, 국민의 손으로 지켜낸다" - 7월 17일 제헌절의 진짜 의미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들
목차1. 제헌절은 어떤 날일까?2. 헌법이란 무엇인가?3. 12·3 쿠데타 이후, 국민이 지켜낸 헌법4. 세계의 헌법 역사 간략 정리. 대한민국 헌법, 지금 고쳐야 할 부분은?6. 제헌절의 의미, 오늘 우리가 실천할 일 1. 제헌절은 어떤 날일까?제헌절(制憲節)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의 최초 헌법이 제정·공포된 날을 기념하는 국가기념일이다.해방 후 혼란의 시대를 지나 국민주권,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 국가로 가는 첫 출발점이 바로 이 날이었다."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제1조 1항, 대한민국 헌법 2. 헌법이란 무엇인가?헌법은 국가의 근본 규칙이자,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는 최고의 법이다.즉, 헌법은 국가의 주인인..
2025. 7. 15.